본문 바로가기
세금

한미 FTA 상호관세와 부가가치세

by 즐거운 경제 2025. 2. 18.
반응형

한미 FTA와 이에 따른 상호관세와 부가가치세 문제로 연일 트럼프 정부가 압박을 가해오고 있습니다. 이 문제는 상당히 복잡하고 민감한 사안으로 오늘은 한미 FTA 및 상호관세와 부가가치세의 의미를 확인하고, 이에 따른 한미간의 쟁점과 향후 전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미FTA와상호관세+부가가치세

반응형

 

한미 FTA 및 상호관세

한미 FTA는 양국 간 관세 장벽을 낮추거나 없애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상당 부분의 상품에 대한 관세가 철폐되었습니다. 그런데 최근에 미국 트럼프 정부가 출범하면서 상호관세 부과 카드를 전격적으로 들고 나오게 되었습니다.

 

상호관세는 국가 간 무역에서 서로 상대방 국가에서 수입하는 상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는 것을 의미하는 데, 미국에 유리한 상품에 대하여 4월 초부터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이야기입니다.

 

거기에다가 미국은 한국의 부가가치세 제도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부가가치세가 미국 기업에게 불리하게 작용한다고 주장하며, 상호관세 부과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합니다.

 

 

부가가치세란

부가가치세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생산 및 유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가가치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한국은 부가가치세 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미국은 부가가치세가 없습니다.(참고로 우리나라의 부가가치세는 10%입니다.)

미국은 한국의 부가가치세가 미국 기업이 한국에 수출하는 상품의 가격 경쟁력을 떨어뜨린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은 부가가치세가 관세와 유사한 효과를 가진다고 보고, 상호관세 부과를 통해서 한국의 부가가치세에 대응하려고 하는 것이 골자입니다.

 

 

한미 FTA 상호관세와 부가가치세의 쟁점

  • 부가가치세의 성격 : 부가가치세는 소비세의 일종으로, 관세와는 성격이 다른 세금입니다. 미국이 부가가치세를 관세와 동일하게 취급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 미국 기업의 불이익 : 한국의 부가가치세가 미국 기업에게 불리하게 작용하는 측면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과 대응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 상호주의 원칙 : 상호주의 원칙에 따라 미국도 한국에 대해 상응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한미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향후의 전망과 대응

한미 FTA, 상호관세, 부가가치세 문제는 양국 간 협상을 통해 해결해야만 하는 과제입니다. 양국은 부가가치세의 성격과 미국 기업의 불ㄹ이익, 상호주의 원칙 등의 다양한 쟁점에 관하여 심도 있는 논의와 협력을 통해서 윈윈 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상호관세의 특징과 장단점와 한미 FTA

상호관세란상호관세는 두 나라가 서로 상대국에서 수입하는 상품에 대해 동일하거나 유사한 관세율을 적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주로 자유무역협정(FTA)과 같은 무역 협정을 통해 이루어집

enjoyfn.tistory.com

 

 

지금까지 한미 FTA와 상호관세, 부가가치세에 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