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펀드 ETF

주식형 ETF(상장지수펀드) 특징과 종류 및 거래 방법

by 즐거운 경제 2025. 3. 7.
반응형

주식형 ETF(Exchange Traded Fund)는 주식시장에 상장된 주식들을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입니다. 다양한 투자전략과 테마를 가진 ETF들이 존재하며, 투자자들은 자신의 투자 목표와 위험선호도에 맞춰 선택할 수 있습니다. 특정 지수(KOSPI 200, S&P 500) 등이나 자산(금, 원유) 등의 움직임에 따라 수익률이 결정되는 펀드입니다. 주식처럼 거래소에서 실시간으로 사고팔 수 있으며, 다수의 종목에 분산 투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개별 주식보다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반응형

 

주식형 ETF

 

 

ETF 상장지수펀드의 주요 특징과 장점

  • 분산 투자 : ETF는 여러 종목을 한 번에 담고 있어 분산 투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거래 편의성 : 주식처럼 거래소에서 실시간으로 거래할 수 있어 편리하다.
  • 낮은 비용 : 일반 펀드에 비해 운용비용이 저렴하다.
  • 투명성 : 투자 대상과 구성 종목이 매일 공개되어 투명하게 운영된다.
  • 세금 혜택 : 국내 주식형 ETF의 매매차익은 비과세이다.

 

 

국내 주식형 ETF의 종류

  • 지수 추종 ETF : 코스피 200, 코스닥 150 등 대표적인 주가지수를 추종하는 ETF이며, 시장전체의 흐름에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 섹터 ETF : 특정산업분야(2차 전지, 반도체, 헬스케어 등)의 주식들을 추종하는 ETF이며, 특정 산업의 성장성에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 테마 ETF : 특정 테마(ESG, 인공지능, 메타버스 등)에 관련된 주식들을 추종하는 ETF이며, 특정 테마의 성장성에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 스타일 ETF : 특정 투자 스타일(교배당, 가치주, 성장주 등)에 맞춰 주식들을 선별하여 투자하는 ETF이며, 특정 투자 스타일에 맞춰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 액티브 ETF : 벤치마크 지수 대비 초과 수익을 목표로 적극적으로 운용하는 ETF입니다.

 

 

주식형 ETF 거래 방법 및 절차

주식형 ETF 거래 방법은 아래와 같은 절차에 따라서 거래합니다.

  1. 증권 계좌 개설 : 주식거래를 위한 증권계좌를 개설(있다면 해당 계좌 사용)합니다.
  2. 거래 플랫폼 접속 : 증권사의 HTS(컴퓨터용), MTS(모바일용)에 접속합니다.
  3. ETF 검색 및 선택 : 원하는 주식형 ETF를 검색합니다.(종목명이나 종목 코드로 검색 가능)
  4. 주문 유형 선택 : 매수 또는 매도 주문을 선택합니다.(일반적으로 시장가 주문 또는 지정가 주문 사용 가능)
  5. 주문 수량 및 가격 입력 : 매수 또는 매도할 ETF의 수량을 입력합니다. 지정가 주문 시 원하는 가격을 입력합니다.
  6. 주문 실행 및 확인 : 주문 내용을 확인하고 주문을 실행합니다. 그리고 체결 결과를 확인합니다.

 

 

주식형 ETF 거래 시 발생하는 세금

주식형 ETF 거래 시 발생하는 세금은 아래와 같이 크게 두 가지입니다.

 

국내 주식형 ETF 매매차익에 대한 세금

  • 국내 주식에 투자하는 일반적인 지수추종형 ETF의 경우, 매매차익에 대해서는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다.
  • 하지만, 국내 주식형 ETF라도 레버리지, 인버스, TR(Total Return), 액티브 ETF 등은 매매차익에 대해 과세된다.

 

해외 주식형 ETF 매매차익에 대한 세금

  • 해외 주식에 투자하는 ETF는 매매차익에 대해 배당소득세(15.4%)가 부가된다.

 

분배금(배당금)에 대한 세금

  • ETF에서 발생하는 분배금은 배당소득으로 간주되어 15.4%의 배당소득세가 부과된다.
  • 분배금을 재투자하는 경우에도 세금이 부과된다.

 

주식형 ETF 세금 관련 추가 정보

  • 과세 표준 기준 가격 : ETF의 과세표준 기준가격 변동분을 기준으로 세금이 부과될 수 있다. 실제 매매차익과 과세표준 기준가격 변동분 중 적은 금액을 기준으로 세금이 부과된다.
  • 해외 주식형 ETF의 경우 : 해외 주식형 ETF의 경우, 해외에서 발생한 배당소득에 대해, 해외 과세가 먼저 이루어지고, 국내에서 추가적으로 세금이 부과될 수 있다.

 

 

주식형 ETF 투자 시 주의사항

  • 투자 위험 : ETF도 투자 상품이므로 원금 손실의 위험이 있다.
  • 추적 오차 : ETF가 추종하는 지수와의 수익률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 거래량 : 거래량이 적은 ETF는 원하는 시점에 거래가 어려울 수 있다. 
  • 보수 : ETF 운용에 대한 보수가 발생한다.
  • ETF 투자 시 : 투자 목적, 투자 기간, 위험 감수 등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선택해야 합니다.
  • 주식형 ETF는 운용 기준이나 세금 등에 관해서 전문가와 상담하여 잘 알아보고 투자해야 합니다.

 

 

한국거래소 애니메이션으로 보는 ETF 이야기

 

애니메이션으로 보는 ETF 이야기 | KRX Academy

 

main.krxverse.co.kr

 

 

지금까지 주식형 ETF 투자에 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