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금산분리의 목적과 유형

by 즐거운 경제 2025. 3. 20.
반응형

금산분리(金産分離)는 금융자본과 산업자본의 결합을 제한하여 경제력 집중을 방지하고 금융회사의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원칙입니다. 즉 금융회사와 일반기업이 서로 소유하거나 지배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오늘은 금산분리의 목적과 유형, 우리나라의 금산분리에 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금산분리의 목적과 유형

 

반응형

 

금산분리의 목적

  • 경제력 집중 방지 : 산업자본이 금융회사를 지배하게 되면, 경제력 집중이 심화되어 불공정 경쟁을 유발하고 경제 전반의 건전성을 해칠 수 있습니다.
  • 금융회사의 건전성 확보 : 산업자본이 금융회사를 사금고처럼 이용하여 무분별한 투자를 하거나 부실 대출을 일으키면 금융회사의 건전성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 이해 상충 방지 : 금융회사가 특정 산업에 과도하게 관여하면 이해 상충 문제가 발생하여 금융 소비자의 이익을 해칠 수 있습니다.

 

 

금산분리의 유형

  • 산업자본의 금융회사 지배 제한 : 일반 기업이 은행, 증권, 보험 등 금융회사를 소유하거나 지배하는 것을 제한합니다.
  • 금융자본의 산업회사 지배 제한 : 금융회사가 일반 기업을 소유하거나 지배하는 것을 제한합니다.

 

 

우리나라의 금산분리

우리나라에서는 은행법, 금융지주회사법, 공정거래법 등을 통해 금산분리 원칙을 규정하고 있으며, 특히 산업 자본의 은행 소유를 엄격하게 제한하는 '은산분리' 원칙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금산분리에 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